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Story↑Up > 라이프

[행복한 미래의학] 왜 원인 없는 위장병이 많을까

"죽을 만큼 아픈데 그냥 '신경성'이라고?" 현대의학 발전했어도 숨은 원인 못 찾는 경우 많아

2022.10.24(Mon) 09:40:39

[비즈한국] 우리 국민의 약 4분의 1이 위장병으로 고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계 기관과 방식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위장관 질환의 81%, 위식도 역류질환의 86%는 내시경으로 기질적 원인을 찾을 수 없어 기능성 소화불량증(FD), 위식도 역류질환(GERD), 과민대장증후군(IBS)과 같은 병명으로 고통받고 있다고 한다. 특히 이 중의 25% 정도는 심각한 만성적 증상과 낮은 치료율, 그리고 반복 재발로 평생 고생하는 실정이다. 검사에서 관찰되지 않으니 정확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고, 일시적으로 증상만 완화하는 대증요법만 쓰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약물들은 장기 사용 시 장내 불결한 환경 조성과 장염, 심혈관 질환, 치매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안정성 문제가 보고된다. 

 

위장병에 대한 의학적 한계와 딜레마는 이에 그치지 않는다.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19년 신규 발생한 전체 암 환자 22만 명 가운데 2.9만 명(13%)이 넘게 걸린 3가지 암 중 2개가 위암과 대장암이다. 특히 위암의 경우 세계 1위로 ‘위장병 천국’이라는 오명도 갖고 있다. 암 치료의학은 계속 발전해서 생존율이 올라가지만 위암, 대장암, 식도암을 예방할 수 있는 의학적 길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 국민의 4분의 1이 위장병으로 고통받고 있지만 위장관 질환의 81%, 위식도 역류질환의 86%는 내시경으로 기질적 원인을 찾지 못한다.

 

#162cm에 몸무게 28kg 물도 못 먹는 환자

 

2002년 초 진료실 문을 열고 앙상하게 마른 여자 환자가 들어왔다. 비틀거리며 들어온 환자는 뼈의 형태가 드러나 보일 정도로 심하게 말라 있었다. 키 162cm, 몸무게 28kg! 60대 초반 여성 환자였다. 이 환자는 물도 목에 걸려 넘어가지 않아 거의 식사하지 못했다. 영양 주사에 의지해 살면서 분명 암이라고 생각하고 대학병원에 입원하여 내시경, CT 등 할 수 있는 검사를 다 해봤지만 ‘이상 없음’이라는 진단만 나왔다. 원인을 못 찾으니 정신적 문제로 생각하고 신경정신과로 전과하여 치료했다. 전혀 개선되지 않고 몸은 더 쇠약해져 가던 중 소문을 듣고 내원하였다. 

 

배를 만져보니 살과 지방이 거의 소실되어 위장이 그대로 만져지는 상태였다. 그런데 정상이라면 부드러워야 할 위장이 돌처럼 딱딱했다. 너무나 확실하고 뚜렷한 현상이었기에 위장이 돌처럼 변할 수 있음을 부인할 수 없었다. 더욱 놀라운 건 내시경이나 복부 MRI 등 모든 검사가 정상으로 나와 의학적으로는 전혀 문제가 없다는 사실이었다.  

 

필자는 이 환자를 통해 세 가지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는 돌 같이 굳어지는 위장병이 있다는 사실, 둘째는 위장이 굳어지면 움직이지 않아서 소화를 거의 시키지 못한다는 점. 끝으로 내시경은 위와 장의 점막만 관찰하고, 굳어지는 건 성질의 문제이기 때문에 현재의 위장진단기기로는 알 수 없다는 사실이었다.

 

필자도 물론이었지만, 대부분 의사는 위장이 돌덩이처럼 딱딱하게 굳을 수 있다는 개념이 없다. 환자가 복부에 딱딱한 것이 만져진다고 하면 근육이나 혈관이 긴장했기 때문이라 한다. 그러나 이 환자를 통해 위장이 돌처럼 굳을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이 환자로 인해 필자는 위장을 다시 꼼꼼히 살피게 되었다.   

 

#알려지지 않았던 위장의 진실 

 

우선 점막이 아닌 점막이면 조직을 살펴보자. 위장은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3~8mm의 두께와 5겹으로 이루어진 주머니 모양의 입체적인 기관이다. 장은 이보다 얇지만, 위와 비슷한 입체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흡수하기 좋게 라디에이터와 같은 모양의 융털돌기를 갖추고 있다. 

 

위장 점막이면 조직.

 

위장 이면조직으로 들어가 보면, 얇은 조직 안에 대단히 복잡하고 세세한 기관들이 있다. 여기엔 면역 기관인 GALT(Gut Associated Lymphoid Tissue, 위장림프조직)라는 고도의 면역계가 있고, 뇌 다음으로 많은 신경조직(내인신경계와 뇌, 척수와 연결된 외인신경계)가 있다. 특히 면역시스템은 우리 몸에서 가장 방대한 수준의 조직을 자랑하고, 신경계도 척수 신경보다 훨씬 많이 탑재되어 있다. 최정예의 군대조직과 정보기관이 위장 내에 존재하는 셈이다. 

 

또 위장 운동과 각종 효소 분비를 원활하게 하는 호르몬계, 그리고 각종 소화 효소, 위산, 위장 보호 점액 물질 등 분비 기관, 음식물을 골고루 섞어 아래로 내려보내는 강한 힘의 근육계, 위장과 전신 사이에서 영양분과 면역물질을 서로 공급하는 혈관과 림프 그물망 조직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작용하지 않고 뇌와 연결되어 몸 전체의 관점에서 소화, 흡수, 배설, 면역, 경비, 정신 기능 등 신비로운 일들을 수행한다. 

 

이처럼 내시경으로 볼 수 없는 광범위한 위장 세계는 우리 생각보다 구조가 훨씬 복잡 미묘하고 기능도 오묘해서 아무리 첨단 과학이라도 다 파악할 수 없을 정도다. 그저 소화 운동이나 하는 곳으로 알고 있던 장기치고는 지나치게 고도의 시설을 지닌 셈이다. 따지고 보면 이곳은 우리 몸을 지탱하는 모든 영양과 원료를 공급하는 1차 공급처일 뿐 아니라, 해로운 물질이나 독소가 유입되면 몸에 흡수되지 않도록 걸러내는 정화 역할도 한다. 만약 이곳 위와 장 이면조직이 손상되면 어떻게 될까? 아마도 정화되지 않은 많은 유해물질이 혈관이나 림프계를 통해 전신으로 파급해 우리 몸은 서서히 질병 상태로 빠지게 될 것이다. 

 

“이런 밥통 같은 사람을 봤나?” 우리는 흔히 위장을 밥통이라고 불렀다. 밥통이란 사전적인 의미는 밥을 담는 그릇이니 일부 맞는 말이다. 하지만 밥통이란 말은 머리가 나쁜 사람, 밥만 축내는 멍청한 사람에 비유되니, 위장을 밥만 담는 그릇이고 생각 없는 멍청한 기관으로 여기는 것이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위장은 밥통이 아니었다. 두께 3~8mm, 점막 속에 감춰진 그곳은 우리 몸 최고의 첨단 사령부였다. 최근 의학자들에 의해 위장을 명실상부 우리 몸의 ‘제2의 뇌’라 부르고 있다. 이제 위장을 더는 밥통이라고 부르지 않고 조금이나마 경외감을 가지고 조심스럽게 대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필자 최서형 박사는 양의학과 한의학을 융합하여 최고의 미래 의학을 구현하기 위해 1992년 양·한방 협진병원을 설립하고 두 의학 융합 방법론을 창안했다. 이러한 공로로 보건복지부의 신지식인 의료계 1호로 선정됐다. 현재 담적 전문병원인 위담한방병원과 암, 치매, 난치성 질환을 대상으로 한 충주위담통합병원을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최서형 위담한방병원장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행복한 미래의학] 암은 죽이되 몸은 살린다
· [행복한 미래의학] 암 치료도 행복할 수 있다?!
· [행복한 미래의학] 효과적인 암 치료 위해 '융합의학'이 필요하다
· [행복한 미래의학] 고통 없는 암 치료, 가능할까
· [행복한 미래의학] 코로나 치료의 새로운 방책은 한의학에 있다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