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Story↑Up > 라이프

[아빠랑] 연산군묘에서 김수영문학관까지, 도봉 역사문화관광벨트 산책

서울 대표적 역사문화 자치구 '사대문 안에 종로가 있다면 사대문 밖엔 도봉구가 있다'

2022.08.16(Tue) 17:55:01

[비즈한국] 도봉산이 자리 잡은 도봉구는 서울 도성 밖의 대표적 역사문화 자치구다. 사대문 안에 종로와 중구가 있다면, 사대문 밖에는 도봉구가 있는 셈이다. 도봉구는 지역 안의 역사 명소들을 ‘도봉 역사문화관광벨트’로 묶어서 관리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연산군묘와 정의공주묘, 김수영문학관과 함석헌기념관 등 전근대와 근대를 아우르는 문화유산들이 포진해 있다. 

 

연산군묘와 이웃한 원당샘공원에는 서울특별시 지정보호수 제1호인 방학동 은행나무가 있다. 높이 24m, 둘레 9.6m의 우람한 은행나무는 수령 600년이 훌쩍 넘었다. 사진=구완회 제공

 

#조선 전기 대군과 공주의 무덤, 연산군묘와 정의공주묘

 

도봉 역사문화관광벨트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은 연산군과 부인 신씨가 묻혀 있는 연산군묘다. 원래 왕이나 왕비의 무덤은 ‘능(릉)’이라고 부르지만 연산군은 반정으로 폐위되었기 때문에 능이 아닌 묘가 되었다. 왕이 아니라 대군의 격에 맞춰 무덤을 꾸며서 묘비와 혼유석(무덤 앞 제단 모양의 돌), 장명등(돌로 만든 등), 향로석(향로를 올려 놓는 돌), 문인석 등은 갖추었으나 병풍석(무덤을 병풍처럼 두른 돌)과 석마(돌로 만든 말), 석양(돌로 만든 양), 무인석 등은 설치하지 않았다. 원래 무덤은 연산군이 유배되었다가 사망한 강화도에 있었으나, 부인 신씨의 청으로 이듬해 이곳으로 옮겨졌다. 이곳은 신씨의 외할아버지이자 세종의 아들인 임영대군의 땅이라고 한다. 

 

연산군과 부인 신씨가 묻혀 있는 연산군묘. 원래 왕이나 왕비의 무덤은 ‘능(릉)’이라고 부르지만 연산군은 반정으로 폐위되었기 때문에 능이 아닌 묘가 되었다. 사진=구완회 제공

 

연산군묘와 이웃한 원당샘공원에는 서울특별시 지정보호수 제1호인 방학동 은행나무가 있다. 높이 24m, 둘레 9.6m의 우람한 은행나무는 수령 600년이 훌쩍 넘었으니, 연산군의 묘가 이곳으로 이장되는 모습을 지켜보았을 것이다. 은행나무 옆에 있는 원당샘은 수백 년 동안 원당 마을 주민들의 생활용수를 공급하던 수원이었다. 지금은 옛날 기능을 잃었으나, 전통 연못과 정자 등을 지어서 근린공원으로 다시 태어났다. 

 

세종의 둘째 딸 정의공주와 부마 안맹담의 묘. 타고난 총명함으로 세종의 각별한 사랑을 받은 정의공주는 훈민정음 창제에도 관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진=구완회 제공

 

연산군묘에서 길을 건너면 세종의 둘째 딸인 정의공주와 부마 안맹담의 묘역이 보인다. 타고난 총명함으로 세종의 각별한 사랑을 받은 정의공주는 훈민정음 창제에도 관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맹담의 족보인 ‘죽산 안씨 대동보’에 따르면 세종이 훈민정음을 만들 때 부딪친 문제를 대군과 공주에게 물었는데, 정의공주만이 문제를 풀어서 노비를 상으로 받았다고 한다. 예전에는 세종이 집현전 학자들에게 명을 내려 훈민정음을 만들었다고 생각했으나, 요즘은 세종과 일부 측근이 비밀리에 훈민정음을 완성했다는 것이 정설이 되었으니, 총명한 정의공주가 문민정음 창제에 관여했다는 주장도 어느 정도 수긍이 간다. 

 

#도봉에서 현대사를 만들어간 김수영과 함석헌

 

연산군과 정의공주가 죽은 뒤에 도봉으로 이주했다면, 도봉에 살면서 우리 역사에 큰 발자국을 남긴 인물들도 있다. 시인 김수영과 사상가 함석헌이 그들이다. 대한민국 현대시를 대표하는 김수영은 본가가 있던 도봉구 작업실에서 시작에 전념했고, 기독교 사상가이자 민주화 운동가인 함석헌은 마지막 여생을 도봉구 쌍문동 자택에서 보냈다. 

 

연산군묘에서 도보로 5분 거리에 세워진 김수영문학관에는 그의 육필 원고와 함께 서재 등 일상을 볼 수 있는 자료들을 전시하고 있다. 사진=구완회 제공

 

김수영이 불의의 교통사고로 세상을 뜬 뒤에 문인들이 십시일반 힘을 보태 그의 대표작 ‘풀’을 새긴 시비를 도봉구에 세웠다. 연산군묘에서 도보로 5분 거리에 세워진 김수영문학관에는 그의 육필 원고와 함께 서재 등 일상을 볼 수 있는 자료들을 전시하고 있다. 1층 안쪽 영상실에선 김수영의 작품 세계와 그 배경이 된 4·19 혁명 등 대한민국 현대사의 굵직한 사건들을 설명하는 다큐멘터리 영상을 볼 수 있다. 

 

함석헌이 말년을 보낸 쌍문동 집은 함석헌기념관으로 변신해 관람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생활공간이었던 1층은 고인의 유품과 활동 영상 등을 볼 수 있고, 창고였던 지하1층은 세미나실과 도서열람실 등 주민 커뮤니티 공간으로 구성했다. 

 

1901년 함경북도 용천에서 태어난 함석헌은 독립운동가이자 민주화운동가, 시인, 언론인, 역사가, 교육자 등으로 활동하면서 다방면에 뚜렷한 업적을 남겼다. 1919년 3·1운동 참여 이후 다양한 독립운동을 하면서 옥고를 치렀고, 해방 후 월남하여 이승남, 박정희 독재에 맞서 민주화와 인권을 위해 투쟁했다. 그가 펴낸 시사평론 잡지 ‘씨알의 소리’와 기독교 역사관으로 한국사를 해석한 ‘뜻으로 본 한국역사’는 시대의 앞길을 밝혀준 명작으로 기억되고 있다. 

 

독립운동가이자 민주화운동가, 시인, 언론인, 역사가, 교육자 함석헌이 말년을 보낸 쌍문동 집은 함석헌기념관으로 변신해 관람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사진=구완회 제공

 

<여행정보>


연산군묘

△위치: 서울시 도봉구 방학동 산77

△문의: 02-3494-0370

△영업시간: 3~10월 09:00~18:30, 11~2월 09:00~17:30, 월요일 휴관

 

양효공 안맹담과 정의공주 묘역

△위치: 서울시 도봉구 방학로 264

△문의: 02-3494-0370

△영업시간: 상시, 연중무휴

 

김수영문학관

△위치: 서울시 도봉구 해등로32길 80

△문의: 02-3494-1127

△영업시간: 09:00~18:00, 월요일, 1월1일, 설날 및 추석 당일 휴관

 

함석헌기념관

△위치: 서울시 도봉구 도봉로123길 33-6

△문의: 02-905-7007

△영업시간: 09:00~18:00, 월요일, 1월1일, 설날 및 추석 당일 휴관

 

필자 구완회는 대학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여성중앙’, ‘프라이데이’ 등에서 기자로 일했다. 랜덤하우스코리아 여행출판팀장으로 ‘세계를 간다’, ‘100배 즐기기’ 등의 여행 가이드북 시리즈를 총괄했다. 지금은 두 아이를 키우며 아이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역사와 여행 이야기를 쓰고 있다.​​​​​​​​​ ​​​​​​​​

구완회 여행작가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아빠랑] 굽이굽이 육십령 넘어 논개와 향교의 전설을 찾아, 전북 장수
· [아빠랑] '보령 외연도'에서 물멍, 별멍…나만의 휴가 즐기기
· [아빠랑] 도서관으로 떠나는 북캉스, 의정부 음악&미술도서관
· [아빠랑] 유유히 흐르는 남강을 보며 논개를 생각하네, 진주성 산책
· [아빠랑] '내륙의 바다' 충주호를 즐기는 세 가지 방법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