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Story↑Up > 엔터

[올드라마] '코로나 학번'에게 추천하는 캠퍼스 드라마 '카이스트'

문과도 반할만한 개성있는 캐릭터의 장밋빛 대학 생활…20대 특유의 순수한 열정 그대로

2020.12.08(Tue) 15:39:15

[비즈한국] 개인적으로 올해 가장 불쌍한 이들은 올해 대학 신입생들인 20학번이다. 입학식은커녕 대면 수업도 거의 받지 못하고 MT, 동아리, 축제 같은 ‘캠퍼스 라이프’를 즐겨보지 못한 ‘비운의 20학번’ 말이다. 낭만 찾으며 시간을 허비하는 게 가능했던 2000년대 초에 대학을 다녔기 때문인지, 20학번 학생들이 하염없이 불쌍하게 느껴지는 거다. ‘캠퍼스 라이프’가 뭔지 감이 안 잡히는 20학번들을 위해 20년 전 드라마 ‘카이스트’를 추천해 본다. 요즘은 여행도 ‘랜선 여행’으로 하는 때니까, 대학 생활도 드라마로 간접 경험해 보는 건 어떨까 하는 마음으로.

 

카이스트 내에서도 로봇 동아리를 중심에 두고 이야기를 진행했던 ‘카이스트’. ‘여명의 눈동자’ ‘모래시계’를 집필한 송지나 작가가 각본을 맡아 화제였다. 드라마 1화에서 어느 할머니가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에 다닌다는 학생에게 “그래, 공부를 못하면 기술이라도 배워야 해”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드라마 방영 전까지만 해도 카이스트가 대전에 있는지도 몰랐을 정도로 인지도가 ‘안습’이긴 했다. 사진=SBS 홈페이지 ​

 

한국과학기술원이라 불렸던 카이스트(KAIST)는 과학 인재 양성과 국가 정책으로 추진하는 과학기술연구 수행을 위해 설립된 곳이란다. 설명만 들어도 나같은 문과생에겐 안드로메다처럼 멀게 느껴지는 곳인데, 신기하게도 그곳을 배경으로 한 ‘카이스트’는 무척 재미졌다. 천재, 영재, 수재들이 난무하는 카이스트이긴 하지만 어쨌든 대학생들의 우정과 사랑, 고뇌를 다루는 건 마찬가지니까. 파스칼의 삼각형이니 Y2K니 중력파 검출이니 로봇축구니 하는 건 1도 못 알아들었지만 말이다. 1999년 1월부터 2000년 10월까지 81부에 걸쳐 방영한 일요 드라마 ‘카이스트’는 과학을 연구하는 젊은 학생뿐 아니라 교수진, 대학원생들까지 한 명 한 명이 무척이나 개성 넘쳤다.

 

드라마 초반 주인공 그룹이었던 박채영(채림), 이민재(이민우), 구지원(故 이은주). 이후 채림이 빠지고 강성연, 추자현 등이 그 포지션을 채운다. 대학생들이 주인공이지만 연애 이야기가 중심이 아니라는 것도 ‘카이스트’의 독특했던 점. 사진=SBS 홈페이지

 

절친한 친구지만 어딘지 살리에르와 모차르트 같았던 전자전기공학과의 이민재(이민우)와 김정태(김정현), 한없이 털털하고 긍정적인 민재의 소꿉친구인 전산학과 박채영(채림)과 어려운 가정형편 때문에 장학금에 목숨을 거는 까칠한 구지원(故 이은주), 학문에 있어서는 깐깐한 교수지만 일상은 허술하기 짝이 없는 이희정 교수(이휘향)과 툭하면 ‘히힛’ 하고 독특한 웃음소리를 내는 철딱서니없는 어린애 같지만 천재였던 박기훈 교수(안정훈), 이희정 교수를 보좌하는 넉살 좋은 대학원생 정만수(정성화)와 깐깐하게 만수를 갈구던 전자전기공학과 랩장이던 정명환(故 김주혁) 등등. 뒤로 갈수록 인물들이 빠지고 추가되면서 이나영, 추자현, 강성연, 김민정, 지성, 연정훈, 이규한 등 지금 보면 더 입이 떡 벌어지는 수많은 배우들이 ‘카이스트’를 빛냈다.

 

90년대에 연기 잘하기로 유명했던 이민우와 김정현이 중심 인물을 맡았다. 김정현이 연기한 김정태 역은 타고난 천재로, 1화부터 사건사고가 있어서 학교를 떠났었던 그가 돌아오는 것으로 시작한다. 사진=SBS 홈페이지

 

‘카이스트’가 재미었던 건 사랑 이야기에만 국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내 기억에 이토록 대학생의 삶에 순수하게 접근했던 드라마가 있었던가 싶다. 이희정 교수와 박기훈 교수의 대조적인 수업법도 그랬고, 드라마의 상당 시간을 수업을 듣고 공부에 매진하는 학생들의 모습에 집중했다. 공부 잘하는 학생들의 이야기라서 그럴 수도 있겠지만, 카이스트 안에서도 다양한 학생들이 존재했다. 공부보다 핀수영에 더 열을 올리는 학생도 있었고, 빌 게이츠가 장사꾼에 불과하다고 비난하는 학생들도 있었다. 모두가 박사를 꿈꾸는 것도 아니었고. 그렇게 ‘카이스트’는 과학으로 시작해서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어떤 꿈을 좇고 어떤 친구가 되고 싶은지, 결국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를 들여다본다. 서로 다른 사람들끼리 부딪히며 성장하는 모습(심지어 교수들도)을 진솔하게 그려낸 것이 ‘카이스트’의 매력이었다. 그 과정이 오그라들지 않는 선에서 적절히 긍정적이고 발전적으로 그려내서 나도 대학에 가면 저런 시간을 보내게 되는구나 하는 환상을 선사한달까.

 

이제는 볼 수 없는 이은주와 김주혁의 풋풋했던 때를 볼 수 있는 드라마이기도 하다. 특히 이은주가 연기한 구지원은 초반에는 누구에게나 가시를 세우는 쌀쌀맞은 인물이지만 친구들과 함께하며 서서히 따스함을 알아간다. 사진=SBS 홈페이지

 

듣기로는 이 드라마를 보고 공대에 로망을 가지고 진학한 학생들이 ‘낚였다’는 반응을 보였다는데, 나는 이과생이 아닌 ‘찐문과생’이라 드라마와 현실의 공대가 얼마나 큰 간극이 있는지는 모르겠다. 카이스트 학생들이나 카이스트가 아니더라도 이과생들이 ‘카이스트’를 어떻게 봤는지도 모르겠고. 그렇지만 대학에 가고 나서 하나는 확실히 알았다. 저렇게 성실하고도 순수하게 무엇인가에 매진하는 사람들은 정말 드물다는 걸! 드라마 속 인물들이 로봇축구 때문에 밤을 샜다면, 나나 내 주변은 술을 마시거나 벼락치기로 시험준비할 때나 밤을 샜다고(우리만 그랬나?).

 

개인적으로 ‘카이스트’의 재미는 학생만큼이나 교수들의 비중이 크고 그들을 인간적으로 그린다는 것. 이민재와 김정태만큼이나 대조적인 박기훈 교수(안정훈)와 이희정 교수(이휘향)의 케미가 킬링 포인트였다. 박기훈 교수를 연기한 안정훈과 조교 정만수를 연기한 정성화의 코믹한 연기도 일품. 사진=SBS 홈페이지

 

그래서 지금 ‘카이스트’를 다시 보면 많이 놀랍고 또 후회되고 아쉬운 부분도 많다. 저렇게 좋아하는 것에 미치도록 몰두하는 것도 다 때가 있구나 하는 생각. 변명 같긴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비경제적인 일에 순수하게 시간과 노력을 들이지 못한다는 거, 심지어 시간과 노력을 투자할 의지가 있어도 체력이 안 된다는 걸 슬슬 깨닫고 있거든. 민재, 정태, 지원 등 드라마 속 학생들처럼 그 나이 때에 좋아하던 일에 미친 듯 매달려 봤으면 좋았을걸 하는 생각이 자주 든다(하다못해 연애라도 열심히 할걸!). 

 

00학번이든, 20학번이든, 곧 대학에 입학하게 될 21학번이든, 그리고 이과생이든 문과생이든 누구에게나 시간은 똑같이 흐른다. 20대이던 그때의 시간이 얼마나 소중했는지 절절한 40대는 지금 다시 ‘카이스트’를 보면서 아쉬워할 뿐이지만, 지금 이 드라마를 보는 20대는 부디 그런 아쉬움이 적은 시간을 보내길 바란다. 비록 지금이 코로나 시대라도 말이다. ​

 

필자 정수진은? 

영화와 여행이 좋아 ‘무비위크’ ‘KTX매거진’ 등을 거쳤지만 변함없는 애정의 대상은 드라마였다. 드라마 홈페이지의 인물 소개 읽는 것이 취미로, 마감 때마다 옛날 드라마에 꽂히는 바람에 망하는 마감 인생을 12년간 보냈다. 최근에는 신대륙을 탐험하는 모험가처럼 유튜브 이곳저곳을 기웃거리는 중. 

정수진 대중문화 칼럼니스트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올드라마] 온 힘을 다해 힘껏 껴안아주고 싶은 '신데렐라 언니'
· [올드라마] 선생과 학생 사이에 선 넘는 로맨스 '사랑해 당신을'
· [올드라마] 쿨한 사랑, 쿨한 인생 따윈 없어 '굿바이 솔로'
· [올드라마] 지금 보면 더 놀라운 어벤져스급 배우 총출동 '히트'
· [올드라마] 40대 유부남은 20대를 사랑하면 안되는 걸까 '푸른안개'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