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Story↑Up > 라이프

[베를린·나] 출국 마지막 관문 '퀸디궁' 전쟁이 시작됐다!

해지 3개월 전 '원본 서류'가 우편 접수되어야 완료…주택 계약이 가장 큰 산

2020.05.14(Thu) 11:30:21

[비즈한국] 5월로 들어서며 긴장감이 극에 달했다. 한국으로 떠날 준비가 ‘반드시’ 시작돼야 할 시점이기 때문이다. 지체하거나 놓쳤다가는 원하는 날짜에 떠나지 못하는 불상사가 일어날 수도 있다. 아니, 가기야 가겠지만 상당한 금전적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거나, 복잡한 절차로 이어져 심신이 피폐해질 수도 있다.

 

5월이 되기 훨씬 전부터 나는 비장한 마음으로 독일을 순조롭게 떠나기 위한 각종 ‘퀸디궁 체크리스트’를 만들었다. ‘퀸디궁’이란 계약해지를 뜻한다. 집 임대차 계약부터 인터넷, 전화, 각종 보험 및 세금, 학교, 전기와 TV, 신문구독, 하다못해 계좌 정리 등에 이르기까지 생활 관련된 거의 모든 게 ‘퀸디궁’ 대상이다.

 

‘퀸디궁’이란 계약 해지를 뜻한다. 독일 생활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집 임대차 계약부터 인터넷, 전화, 각종 보험 및 세금, 전기와 TV, 신문구독, 하다못해 계좌 정리 등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퀸디궁’ 해야 한다. 사진=박진영 제공


상당수는 한국에서 독일로 올 때도 했던 것들이지만, 문제는 전화 한 통이면 끝나는 한국과 달리 이곳에선 모든 게 계약서에 ‘정해진’ 일정에 맞춰 계약해지에 대한 원본 서류가 우편으로 오가야 한다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그뿐이랴. 각 건마다 반드시 ‘퀸디궁’이 완료돼야 하는 시기가 다 다르니 계약서를 꼼꼼히 살펴야 하고, 원본 서류가 잘 도착했는지도 빼먹지 말고 확인해야 한다. 서류를 보냈는데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내 의사와 상관없이 계약은 자동으로 연장돼 금전적 손해를 보게 된다. 어지간한 계약은 대개 연간이라 자칫 일 년치를 물어야 하는 불상사가 생길 수도 있다.

 

수많은 퀸디궁 리스트 중 ‘별표’가 가장 많이 그려진 항목들은 집 임대차 계약과 인터넷 및 전화, 그리고 아이의 학교 퀸디궁이다. 독일에서는 대부분 계약 만료 3개월 전까지 퀸디궁을 해야 하니 7월이 학기의 마지막인 학교는 4월에, 8월로 거주가 끝나야 하는 집은 5월에 반드시 퀸디궁이 이뤄져야 했다.

 

먼저 4월 말까지 퀸디궁을 해야 한다고 계약서에 명시된 학교와는 서명된 편지를 주고 받으며 절차가 마무리됐고, 인터넷과 휴대전화도 퀸디궁 서류 양식을 채워 서면을 우편 발송한 뒤 답을 기다리는 중이다. 

 

특히 인터넷과 전화는 독일에서도 퀸디궁이 가장 어렵기로 악명 높은 분야라 한 번에 끝날지 불안한 마음이 없지 않지만, 어차피 연간 계약이라 독일을 떠난 뒤에도 10월까지 요금이 자동으로 이체될 상황이라 7월까지 퀸디궁을 만료하면 되니 그나마 다행이다.

 

계약 해지를 전화나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하는 한국과 달리 독일에서는 원본 서류가 우편으로 오고 가야 효력이 있다. 사진=박진영 제공


금액이 가장 크고 절차도 까다로우며 수많은 퀸디궁이 연관된 주택임대 계약해지는 대부분의 세입자에게 넘어야 할 가장 큰 산이다. 임대 해지 후 퇴거를 알리는 행정절차가 마무리 되어야 각종 보험이며 세금, 전기 등의 항목에 대해 계약해지를 신청할 수 있다.

 

역시나 모두 연간으로 납부된 금액들이라 퇴거 증명서류와 함께 계약해지 신청을 하면 해당 월까지만 정산하고 차액을 환급 받는 방식이다. 임대차와 엮인 부수적인 퀸디궁 때문이 아니라도 독일에서 임대차 퀸디궁은 스트레스의 연속이다. 정확히 말하면 퀸디궁 이후부터의 절차가 진짜 문제다.

 

그 이유는 계약서 상에 명시된 ‘집 보존’ 등에 대한 항목 때문이다. 한국에서도 세입자가 나갈 때 집 상태 등을 체크한 후 손상된 부분 등에 대해 정산하는 경우도 있지만, 독일은 그 정도 수준이 아니다. 들어올 때의 상태와 똑같은 상태로 복구한 후 반납해야 한다.

 

집 상태며 정원 관리 등에 대한 디테일한 내용이 계약서에 있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 해도 집 상태에 대한 집주인의 승인이 나야만 임대 계약이 마무리될 수 있다. 집주인의 마음에 들 때까지 보수든 청소든 추가적으로 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래도 해결되지 않으면 비용 발생으로 넘어간다. 보통 입주 때 내는 임대료 3개월치의 보증금에서 집주인이 책정한 손실 비용만큼 빼고 돌려받는 것.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수리비용이 3개월치 보증금을 넘는 경우 추가 비용을 요구하거나, 공사기간이 길어져 새로운 임대인을 받지 못할 경우 그 기간만큼의 월세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인터넷은 독일에서도 가장 계약해지가 까다로운 항목 중 하나로 꼽힌다. 사진은 독일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영국 통신사 보다폰의 퀸디궁 서식 페이지. 항목 작성 후 서명과 함께 우편으로 원본 편지를 보내야 계약해지가 ‘접수’된다. 사진=보다폰 홈페이지


물론 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어느 정도 살면서 발생할 수밖에 없는 하자나 낡음 등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보호를 받지만 집 상태에 대해서는 집주인의 주관적 판단이 절대적일 수밖에 없다. 과도한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 임차인들이 보증금을 손해 보는 것으로 마무리되곤 한다.

 

문제는 우리처럼 본국으로 돌아가는 경우 손실이 크지 않음에도 보증금 전액을 돌려받지 못하는 사례가 더러 발생한다는 것이다. 보증금에 대해 워낙 많은 이야기를 들었던 터라, 우리는 아예 보증금 대신 6개월치 보증금만큼을 보험사에서 비용 부담하는 ‘보증보험’을 3년간 들었다.

 

때문에 임대차 퀸디궁 절차 때 집에 대한 하자나 수리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및 분쟁은 내 몫이 아닐 거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세입자가 전전긍긍하는 마룻바닥 긁힘이나 벽면과 천장 페인트칠 등도 집주인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보험사가 부담하겠지, 여겼던 것.

 

그런 이유로 임대차 퀸디궁은 시간적 데드라인을 넘지 않는 것과 우편으로 오가야 하는 서류를 꼼꼼히 챙기는 것 외에는 걱정하지 않고 있었다. 그런데, 역시 독일은 만만치 않은 나라였다. 

 

임대차 퀸디궁은 계약 만료까지의 절차가 복잡하다. 집 상태를 주인에게 몇 차례 체크 받고 ‘통과’ 되어야 끝난다. 대부분은 전문가 수준의 청소와 전체 페인트칠 정도로 통과되지만, 경우에 따라 마룻바닥 긁힘 등 세세한 부분까지 보상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 사진=박진영 제공


5월 초, 집 관리를 맡은 회사에 퀸디궁 서류를 보냈다. 남편의 귀임 날짜 상 8월 중순에 집을 비워야 하기에, 8월은 보름치만 계약할 수 없냐는 질문도 함께. 독일은 월 단위 계약이 통상적이지만 입주 당시 보름치 계약을 했던 터라 퇴거 시에도 어쩌면 가능할 거라고 생각했다.

 

관리인의 답장은 이랬다. “월말 계약이기 때문에 7월 말 또는 8월 말에 나가는 게 맞다. 당신들은 새 집에 첫 입주했으니, 8월 15일에 나가고 싶다면 다음 날 새로운 세입자가 바로 들어와도 될 만큼 ‘새 집’ 상태로 반납해라. 그렇지 않다면 8월 말까지 계약은 자동 연장된다.”

 

다시 말하면, 8월 15일에 집 상태가 주인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계약을 연장하고 ‘새 집’ 상태로 만들어 반납하라는 얘기. 어이가 없었다. 새 집에 입주했지만 3년이 지났는데 새 집 상태로 반납하라니. 그럼 이 집은 십 년이 지나든 이십 년이 지나든 새 집 상태로 반납되어야 한다는 말인가.

 

행간을 읽으면 보름치만 계약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해석됐다. 아무리 청소를 열심히 하고 페인트칠을 한 들, 집 주인 마음에 딱 드는 새 집 상태이긴 쉽지 않을 테니. 보증보험도 소용이 없었다. 수리가 필요한 부분 외 기본적인 청결 상태, 가구 및 가전 상태, 페인트 등은 기본적으로 세입자가 해야 하는 부분이었다.

 

수차례 논의가 오갔지만 타협점은 없었다. 집 주인 측에서는 도리어 “8월 한 달 월세를 다 내고 중순에 나가면, 보름치 월세로 우리가 청소며 페인트칠 등을 마무리하겠다”고 제안했다. 월말까지 꽉 채워 살면서 그때까지 수 차례 집 상태를 체크 받느냐, 보름치 월세를 포기하고 편하게 나가느냐.

 

고민 끝에 우리는 후자를 선택하기로 했다. 귀국 준비로 인한 이런저런 스트레스 속에 청소와 페인트칠 등으로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느니 돈을 쓰기로 결정한 것. 퀸디궁 서류에 적어 보낸 ‘새 집 상태로 반납’이라는 부분을 도저히 맞출 자신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마음고생도 하고 예상치 못한 돈이 들어가게 됐지만 진짜 큰 산을 넘은 기분이다. 나머지 퀸디궁이 무사히 마무리되기만을 바라는 마음이다. 독일은 참, 정착하기도 쉽지 않았는데 떠나기도 쉽지 않구나. 

 

글쓴이 박진영은 방송작가로 사회생활에 입문, 여성지 기자, 경제매거진 기자 등 잡지 기자로만 15년을 일한 뒤 PR회사 콘텐츠디렉터로 영역을 확장, 다양한 콘텐츠 기획과 실험에 재미를 붙였다. 2017년 여름부터 글로벌 힙스터들의 성지라는 독일 베를린에 머물며 또 다른 영역 확장을 고민 중이다.

박진영 칼럼니스트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민증' 든 셀카까지? 암호화폐거래소 개인정보 보호 논란
· [김대영의 밀덕] '전쟁 같은 수주전' 현대차 VS 한화 2라운드 격돌
· 오뚜기라면, 감사보고서에 임직원 연봉 유독 높은 이유
· [넷플릭스와 망중립성 논란 1] 나는 억울하다, 나도 억울하다
· [단독] 고동진 삼성전자 사장 한남더힐 신탁, '종부세 폭탄' 피하려?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