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비즈한국 BIZ.HANKOOK

전체메뉴
HOME > Story↑Up > 라이프

[아빠랑] 흥선대원군·고종·명성황후의 운명이 시작된 '운현궁'

고종 어린 시절 살던 사가…'권력자' 흥선대원군 중심으로 실질적 궁궐 역할

2019.08.20(Tue) 15:14:35

[비즈한국] 운현궁은 고종이 어린 시절 살았던 잠저(潛邸)다. 잠저란 왕의 아들이 아니었던(그러니까 궁궐에서 살지 않았던) 왕이 즉위하기 전에 살던 집을 말한다. 어떻게 왕의 아들이 아닌데 왕이 될 수 있냐고? 왕이 후사 없이 죽는다면 가능한 일이다. 그럴 경우엔 궁궐 밖 왕족 중 적당한 사람에게 왕위를 물려주어야 했으니까. 

 

고종의 전임이었던 철종 또한 왕이 되기 전에는 강화도에서 평범하게 살고 있었다(그래서 그의 별명이 ‘강화도령’이다). 하지만 철종의 강화도 잠저와 고종의 운현궁은 본질적으로 달랐다. 

 

당시 세도가였던 안동 김씨 세력의 필요에 의해 ‘낙점’된 철종의 잠저는 곧 잊힌 반면,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철저한 ‘기획’으로 왕위에 오른 고종의 운현궁은 제2의 궁궐, 아니 모든 권력이 모이는 실질적인 궁궐의 역할을 했다. 고종이 등극한 후 흥선대원군은 이곳에 머물며 10년 동안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했다. ​

 

운현궁은 흥선대원군이 머물던 제2의 궁궐이자 고종과 명성황후의 혼례식이 열린 곳이기도 하다. 2018년 고종과 명성황후의 가례 재현 행사 모습. 사진=운현궁 홈페이지

 

# 고종과 명성황후가 혼례를 치른 곳

 

그래서였다. 처음 운현궁을 찾았을 때 그 작은 규모에 의아했던 것은. 하지만 의문은 곧 풀렸다. 이곳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헐리고, 잘리고, 팔려나간 조선의 다른 궁궐들과 마찬가지 운명을 겪었던 것이다. 

 

원래 운현궁은 2만 평이 넘는 부지에 여러 건물이 빼곡하게 들어서 ‘궁궐에 버금간다’는 이야기를 들었더랬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와 해방,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계속 줄어들어 지금은 노안당을 비롯한 4채의 건물만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정문을 들어서면 나오는 넓은 마당엔 건물이 빼곡히 있었을 것이다. 오른쪽 일자 모양의 소박한 건물은 수직사. 운현궁의 경비와 관리를 담당했던 사람들이 머문 숙소다. 흥선대원군이 이곳에 머물던 시절, 그러니까 운현궁의 전성기에는 수직사 건물이 이것보다 훨씬 컸단다. 

 

수직사를 지나면 바로 정면에 보이는 건물이 노안당이다. 이곳은 운현궁의 사랑채로 흥선대원군이 주로 머물던 곳이다. 그가 권력을 잡았을 때는 수많은 사람들이 드나들면서 국정을 논의했던 장소였다.

 ​

흥선대원군(사진)은 철저한 ‘기획’으로 아들 고종을 왕위에 올렸고, 운현궁은 제2의 궁궐, 아니 실질적인 궁궐의 역할을 했다. 사진=운현궁 홈페이지

 

흥선대원군이 주로 머물던 노안당. 걸려있는 현판은 추사 김정희의 글씨다. 사진=운현궁 홈페이지

 

노안당 가운데에 거의 수직으로 걸려 있는 현판은 추사 김정희의 글씨란다. 당시에도 김정희의 글씨는 아주 귀한 대접을 받았다니, 역시 당대 실력자의 사랑채답게 현판의 글씨도 최고를 쓴 셈이다. 사실 흥선대원군은 추사에게 글씨를 배우기도 했다. 노안당 안에는 흥선대원군이 먹으로 난초를 그리는 장면이 재현돼 있는데, 그는 글씨도 훌륭했지만 난초도 잘 그렸다고 한다. 가끔 대원군은 난초 그림을 팔아 돈을 구하기도 했다고. 

 

노안당과 담장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는 노락당은 운현궁에서 가장 크고 중심이 되는 건물이다. 고종과 명성황후의 혼례식이 바로 이곳에서 열렸다.

 

고종은 왕위에 오른 지 3년 만에 그 유명한 명성황후와 이곳에서 혼례를 치렀다. 물론 명성황후를 왕비로 고른 것은 고종이 아니라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이었다. 흥선대원군이 며느리이자 왕비를 고른 가장 중요한 기준은 ‘자기와 가까운 집안’이었다. 그래서 자기 부인과 같은 여흥 민씨 집안에서 며느리를 고른 것이다. 

 

# 풍운아 대원군, 운현궁에서 눈을 감다

 

노안당에 흥선대원군과 고종의 모습이 재현되어 있듯이, 여기에는 명성왕후와 조대비, 흥선대원군의 아내였던 부대부인 민씨의 모습 등이 재현되어 있다. 조대비와 철종비, 부대부인 등이 모여서 노안당과 노락당의 낙성식을 축하는 다례연을 베푸는 장면이다. 

 

다례연이라, 그러고 보면, 우리 선조들은 차 마시기를 즐겼다. 설이나 추석의 차례도 글자 그대로 차를 올리는 제사였으니까. 조대비와 철종비가 입은 금박 번쩍이는 궁중 예복이 눈길을 끈다. 작은 예식에 입는 소례복이 이 정도니, 큰 예식에 입는 대례복은 얼마나 화려할지 상상이 간다. ​ 

 

노락당에는 조대비와 철종비 등이 모여 노안당과 노락당의 낙성식을 축하는 다례연을 베푸는 장면이 재현돼 있다. 사진=구완회 제공

 

시대의 풍운아 흥선대원군은 1898년 이곳 운현궁에서 눈을 감았다. 젊은 시절 ‘상갓집 개’로 불리는 수모를 참으며 가슴 깊이 한과 야심을 키우다, 아들을 왕위에 올리면서 드디어 마음껏 제 뜻을 펼치려 했다. 그러나 진짜 시련은 그때부터 시작이었다. ‘외척 세력의 발호’를 막기 위해 고르고 고른 며느리는 호랑이 새끼였다. 아무리 권력 앞에서는 부모자식도 없다지만 며느리를 죽여달라고 일본 공사관에 수시로 부탁을 하고(유길준의 증언), 결국 비참하게 살해당한 며느리를 보는 시아버지의 마음은 편치 않았으리라. 자신이 죽은 후 고종이 장례식에도 참석하지 않은 것을 하늘에서 봤다면 그 심정은 또 어땠을까? 

 

그로부터 12년 후, 자신이 그토록 지키고자 애썼던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는 모습을 보면서 통곡을 했을지도 모른다. 

 

<여행정보>


운현궁 

△ 위치: 서울시 종로구 삼일대로 464

△ 문의: 02-766-9090

△ 관람 시간: 9시~18시, 월요일 휴관

 

필자 구완회는 대학에서 역사학을 전공하고 ‘여성중앙’, ‘프라이데이’ 등에서 기자로 일했다. 랜덤하우스코리아 여행출판팀장으로 ‘세계를 간다’, ‘100배 즐기기’ 등의 여행 가이드북 시리즈를 총괄했다. 지금은 두 아이를 키우며 아이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역사와 여행 이야기를 쓰고 있다.

구완회 여행작가 writer@bizhankook.com​


[핫클릭]

· [아빠랑] '운림산방' 우중산책 후 '진도개'와 춤을, 진도 여행
· [아빠랑] 전남 목포 1박2일 ② 낮엔 외달도 해수풀, 밤엔 유달산 야경
· [아빠랑] 전남 목포 1박2일 ① 아이와 함께 근대사, 해양사, 자연사 여행
· [아빠랑] '태조 이성계'를 찾아 떠나는 의정부 여행
· [아빠랑] '햇빛은 쨍쨍 소금은 반짝' 시흥갯골생태공원 염전 체험


<저작권자 ⓒ 비즈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